한해를 거의 부트캠프와 인턴으로 보내었는데,
기록을 하나도 남기지 못해서 아쉬움이 ㅜㅜ
그래서 거의 방치하다 싶었던 블로그를 다시 꺼내었습니다 !
올해부턴 좀 열심히 기록하는 한 해가 되길 〰️
지난 2월부터 학회에서 웹 기초를 공부하는 스터디에 참여하고 있어요 ㅎㅎ
타입스크립트로 블록체인 만들기 강의와 Nest JS로 API 만들기 강의를 들었는데,
강의만 듣는 것보다는 우리만의 결과물을 내보자 !! 하고
학회 홈페이지를 제작하기로 했습니다ㅏ
https://nomadcoders.co/typescript-for-beginners
타입스크립트로 블록체인 만들기 –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
Typescript for Beginners
nomadcoders.co
https://nomadcoders.co/nestjs-fundamentals
NestJS로 API 만들기 –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
Enterprise Server Side Applications
nomadcoders.co
참고로 타입스크립트로 블록체인 만들기 강의는 타입스크립트 문법을 배우는 느낌이 좀 더 강합니다
NestJS로 API 만들기 강의는 제목 그대로 NestJS로 API를 만들어 보는 강의라서
NestJS의 프로젝트 구성부터 간단 API 만드는 흐름을 배우는 데 도움이 많이 됐어요 ㅎㅎ
강의 부랴부랴 듣고 홈페이지를 위해 거듭되는 회의..
개발자들끼리 기획하기 너무 어려워버려요 ..😭
상세기획 할 때 피그마 쓰는 것부터 뚝딱뚝딱댔더라는 ㅋㅋ
아무튼 !! 고된 상세 기획을 끝내었습니다.
하고 싶은 기능은 많지만 4월 1일 발표를 위해
우선은 홈 기능에 집중하기로 ..^^
저는 백엔드를 맡게 되었는데요, 팀원 중 백엔드가 저 포함 2명이라서
우선은 DB 연결까지는 개인 레포로 해보고
그 이후부터 팀 레포로 작업하기로 했습니다ㅏ
사실 블로그에서 프로젝트의 어느 내용까지 담아야할지는 모르겠지만..
우선 가장 간단한 NestJS 프로젝트 세팅을 한 번 기록해보겠습니다 !
NesJS 프로젝트 세팅
1. NestJS 설치
npm i -g @nestjs/cli // NestJS 프레임워크 설치
nest // 이후 터미널에 다음을 입력해서 뭐가 쭉 나오면 설치 완료 !
먼저 터미널을 열어서 위의 명령어를 통해 NestJS 프레임워크를 설치합니다.
2. NestJS 프로젝트 만들기
nest new //터미널에 다음을 입력하고 원하는 프로젝트 이름과 원하는 패키지 입력
이후 터미널에서 NestJS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.
다음과 같이 뜨면 프로젝트 생성도 완료 !
저는 package는 npm을 선택했습니다ㅏ
2. 깃헙 레포 연동
git remote add origin {github 링크}
해당 프로젝트에서 터미널을 열어 다음과 같이 입력해 깃헙 레포를 연동합니다.
저도 연동 완료 !
위와 같이 뜨면 NestJS 프로젝트 세팅 완료입니다 !
참고로 전 .gitignore 템플릿은 node 템플릿 활용했습니다.
개발 블로그를 어떤 식으로 쓰는지 몰라서
거의 일상 블로그 마냥 쓰게 되는 것 같은데.. ㅎㅎ
이게 맞는지 모르겠네욤..
뭐 저 볼라고 쓰는 거니까,, 우선 기록하고 싶은 거 다 기록하는 걸로 !
'개발 NOTE ✏️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네이버 따라 만들기] Grid & Flex 3️⃣ (0) | 2024.03.13 |
---|---|
[네이버 따라 만들기] Grid & Flex 2️⃣ (0) | 2024.03.13 |
[네이버 따라 만들기] Grid & Flex 1️⃣ (2) | 2024.03.07 |
이전 Commit으로 되돌리기 (0) | 2024.03.0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