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개발 NOTE ✏️

[네이버 따라 만들기] Grid & Flex 1️⃣

by flowing1ife 2024. 3. 7.

작년에 개인 개발 공부 할 시간이 없어서

올해는 복학해서 시간도 널널한 김에 !

( 물론 중간 전이라 ^_^ )

백엔드 개발 공부를 시작했어요 ~

 

https://www.zerocho.com/lecture

 

제로초 강의 목록

Zero Cho의 강의 목록 및 로드맵입니다.

www.zerocho.com

제로초님의 백엔드 로드맵을 따라서 공부할 예정 !

사실 제로초님을 선택하게 된 계기는 그냥 알고리즘에 떠서.

알고리즘에 뜨신 정도면 당연히 잘 해주셨겠지 싶기도 하고,

 

사실 온 주변이 나에게 떠먹여주고 있는데 그냥 내가 안떠먹고 있었다는 생각이 들어

별 생각없이 그냥 나만 제발 잘하자. 꾸준히 제발... 하는 마인드로 거침없이 선택했습니다 ㅎㅎ


백엔드도 HTML, CSS는 알아두면 좋고,

사실 프론트는 한 번도 안해봐서 찍먹 해보고 싶은 마음에 ㅎㅎ

HTML, CSS 강의인 네이버 따라 만들기 강의부터 듣기로 했습니다ㅏ

 

https://www.youtube.com/playlist?list=PLcqDmjxt30RthgYr4ZG8XqIKoKEO9C9Vh

 

Grid & Flex

네이버 따라 만들기 HTML/CSS 강좌. 회원 전용 영상은 매주 한두 편씩 공개됩니다.

www.youtube.com


오늘은 아래 3개의 강의를 들었습니다ㅏ

[Grid&Flex1-1]네이버 따라 만들기 리뉴얼!!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NAaKKqoB-c&list=PLcqDmjxt30RthgYr4ZG8XqIKoKEO9C9Vh&index=1

[Grid&Flex1-2]키보드에서 손 떼! 가로 세로 계획부터 짜자

 

[Grid&Flex1-3]헤더 부분 배치하기(block, inline-block)
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J5jaFrSMhy0&list=PLcqDmjxt30RthgYr4ZG8XqIKoKEO9C9Vh&index=3


간단 요약

1. Index.html 만들기

<html lang="ko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NAVER</title>
</head> /* index.html의 정보 */
<body> /* 화면에 보여줄 영역 */
    
</body>
</html>

프로젝트 안에 index.html 파일 생성하고, doc 이라고 치면 자연스레 위의 코드가 생성됩니다.

 

📍 head : index.html의 정보

📍 body : 화면에 보여줄 영역

 

2. 구획 나누기

뭐든지 개발은 생각이 주가 될 것 !!

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야 함.

 

즉, 지금 이 네이버 페이지를 만들 때에도 어떤식으로 개발할 것인지

구상을 해야하는데, 그 때 먼저 해야하는 것은 구획 나누기 !

 

가로, 세로, 여백 등등으로 구분해서 나누어서 개발을 구상할 것

 

3. 헤더 부분부터 배치하기

위의 구획을 나눈 사진을 바탕으로 하면 div(block)이 5개 필요할 것 같지만

여백 공간을 제외 하면 div는 3개가 필요합니다.

즉, div 3개만 배치하고 가운데 정렬을 하면 된다는 뜻 !

 

📍 text-align: center | 가운데 정렬을 할 때 쓰임

 

이렇게 하면 세로로 블럭들이 쌓이기 때문에 가로로 블럭들이 쌓일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

 

📍 inline-block | 블럭들을 가로로 쌓을 때 주로 쓰임

( inline이 한줄에 다른 block들을 배치해주는데,
block까지 있으면 width와 heigth 속성 및 margin, padding 속성 지정도 가능해진다고 하네요 )

 

그리고 각각의 요소의 너비를 생각해야 하는데,

이때 boarder의 넓이까지 생각해야 합니다.

 

다음과 같이 요소의 너비를 고려해 헤더를 더욱 구체적으로 나누었습니다.

 

header [header-center {header-logo, header-search, header-home}] header

 

그리고 이를 코드로 옮겨보면 !

<html lang="ko">
<head>
    <meta charset="UTF-8">
    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.0">
    <title>NAVER</title>
    <style>
        #header {
            text-align: center;
        }
        #header-center {
            width: 1130px;
        }
        #header-logo, #header-search, #header-home{
            display: inline-block;
        }
    </style>
</head> 
<body> 
    <div id="header">
        <div id="header-center">
            <div id="header-logo"> 로고 </div>
            <div id="header-search"> 검색창 </div>
            <div id="header-home"> 네이버를 시작페이지로 </div>
        </div>
    </div>
</body>
</html>

오늘은 단순히 페이지 개발을 구상하고 text-align, inline-block 등의 개념을 배웠는데요,

이렇게 개발해보니 구획 나누고 구상하는 것이 프론트에서는 매우 중요한 것 같아요 !_!